전남일보
(칼럼)/데스크칼럼/‘문화수도광주’의 思母曲


양 동 원〈문화체육부장〉



 노무현 대통령이 지난해 대선공약으로 내세운 광주의 문화수도 육성방안에 대한 정부기본구상안이 마무리된 것 같다. 노 대통령은 이를 17일로 예정된 `광주지역 언론과의 대화'에서 밝힐 것으로 알려졌다.

 문화관광부와 광주시가 그동안 머리를 맞대고 수립한 안을 토대로 마련된 이번 기본안에는 문화수도의 핵심시설인 복합문화센터 건립을 비롯한 정부의 문화기반시설 확충의지가 담겨있을 것으로 보인다. 복합문화센터 부지는 전남도청 일대와 광주의 관문인 중외공원 일대 등 당초 2개 방안 가운데 도청일대 2만~3만여 평이 유력한 것으로 알려졌다.

 광주지역 시민단체와 예술인들은 이러한 입안과정에서 광주시가 해온 일방통행식 사업추진에 대해 할 말이 많은 듯 싶다. 이들에게 나오는 볼멘소리는 시가 자신의 입맛에 맞는 학계인사나 문화예술인을 중심으로 한 형식적인 의견수렴에 그치는 `졸렬함'을 보였다는 것. 여기에다 입맛에 맞지 않은 의견이나 시민단체에 대해서는 `소외된 자의 자기 목소리 내기' 정도로 치부하는 `책상머리의 오만함'도 배어있다고 비난한다. 시의 오만함은 `문화관광부와 시의 코드가 맞지 않다'라는 데서 절정에 달했다라는 목소리도 들린다. 그들은 시가 문광부를 방문해 자신의 의견만 전달(건의)하고 내려오는 대목에서는 바보스럽기까지 하다고 한탄한다. 물론 이는 과장되거나 왜곡됐을 것으로 여겨지나 씁쓸함은 어쩔 수 없다.

 광주시도 이러한 비난에 할 말이 많다. 문화수도 추진방안을 마련하기 위해 그동안 토론회와 인터넷, 위원회 등을 통한 수많은 의견수렴과정을 거쳤다는 것. 또 시민단체들의 의견을 일일이 모은다고 하더라도 이를 통합할 수는 없다는 것이다. 밤이 길면 꿈자리도 길어질 수 밖에 없다는 논리인 듯 싶다.

 하지만 문화수도를 육성하는 초입단계부터 시와 시민들 사이에 괴리가 크다는 것은 분명해보인다.

 지난 7월 본보가 실시한 여론조사결과 정부의 광주문화수도 육성공약에 대한 인지도는 지역민의 30% 수준에 머물렀다. 그만큼 대부분 지역민들은 문화수도에 대한 기본적인 인식도 하지 않고 있다. 또한 광주시민의 절반 이상은 문화수도 추진전망에 대해 부정적인 시각을 갖고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이는 문화수도 육성책이 시민적 공감대가 이뤄지지 않은 채 추진되고 있음을 단적으로 보여준다.

 아무튼 광주문화수도에 대한 기본방향이 제시되면 당장 내년부터 타당성 조사 등을 거쳐 사업추진이 본격화될 것으로 보인다. 다만 앞으로 사업추진 과정에는 보다 많은 시민이 참여하는 자리를 마련해 의견을 수렴하는 포용적 자세가 필요하다. 이는 `광주=문화수도'의 성공적 자리매김을 위해서는 시민들의 자발적인 참여가 절대적이기 때문이다.

 복합문화센터 모델로 제시됐다는 프랑스 파리 퐁피두센터와 광주의 상황은 판이하다. 프랑스의 경우 파리를 찾는 사람이 자연스레 들르는 곳이 퐁피두센터라면, 광주는 복합문화센터를 찾는 외지인이 광주를 들른다고 봐야 할 것이다. 이는 복합문화센터의 중요성을 더해주는 대목이다. 복합문화센터 건립은 `제2의 광주탄생'으로 여겨질 정도로 중대한 사업이다.

 복합문화센터에 들어설 시설이 결정되겠으나 최첨단 전시관, 야외공연장, 영화관을 비롯 수영장 등 레저 휴식공간 정도일 것이다. 다만 이러한 복합문화센터는 수요를 창출할 수 있도록 철저히 수요자 위주로 구상되어야 한다. 복합문화센터는 광주나 우리나라만이 아닌 아시아, 나아가 세계속의 시설로 자리매김되어야 한다.

 흔히 광주를 `예향의 도시'로 일컫고 있으나 내면을 들여다보면 말잔치에 다름 아니다. 다방에 그림 몇점 걸려있다고 `예향의 도시'로 부른다면 어쩐지 쑥쓰러울 뿐이다.

 광주의 새로운 발전상을 제시할 문화수도 육성과정에서 시민과 자치단체가 한마음으로 힘을 합쳐야 한다. 21세기 광주발전의 양대 축은 문화사업과 광산업 육성에 달려있다고 본다. 이들 축은 시민들의 폭넓은 지지 아래 서로 보완관계를 유지하며 발전지향적으로 나아가야 할 것이다.